무작정 시리즈의 시작

2022. 10. 6. 01:56·ML_DL/MUJAKJUNG (무작정 시리즈)
728x90
반응형
개와 고양이를 분류하는 모델은 예제로 많이 다루었잖아! 쉽잖아! 바로 할 수 있지?


무작정 시리즈의 시작은 이 질문이었다.

 

과연 나는, 비어있는 jupyternotebook의 마지막에, 개와 고양이를 분류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을까.

 

단숨에 MUJAKJUNG이라는 파일 이름을 정하고는 코드를 작성하기 시작했다.

 

무언가를 하려면, 또 무언가를 안다고 말하려면 아이러니하게도 '아는 것과 모르는 것'을 명확히 해야 한다.

 

목표를 이루기 위해 코드 작성을 이어나가면서, 새로 배운것과 더해지는 지식들은 별도로 정리해보려고 한다.

 

'ML_DL > MUJAKJUNG (무작정 시리즈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lama3 파인튜닝] 코드 업데이트 및 실험 2  (0) 2024.12.25
[Llama3 파인튜닝] 파인튜닝 코드 작성 및 실험 1  (2) 2024.12.18
[Streamlit] 앱 실행하기  (0) 2024.10.11
[OpenAI] OpenAI API 발급 및 request  (0) 2024.08.21
MUJAKJUNG - 개와 고양이 분류  (0) 2022.11.29
'ML_DL/MUJAKJUNG (무작정 시리즈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Llama3 파인튜닝] 파인튜닝 코드 작성 및 실험 1
  • [Streamlit] 앱 실행하기
  • [OpenAI] OpenAI API 발급 및 request
  • MUJAKJUNG - 개와 고양이 분류
swwho
swwho
일상을 데이터화하다
  • swwho
    하루한장
    swwho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188)
      • ML_DL (39)
        • MUJAKJUNG (무작정 시리즈) (18)
        • 딥러닝 공부하기 (21)
      • 데이터사이언스 (1)
        • EDA (1)
        • 데이터과학을 위한 통계 (0)
      • 데이터엔지니어링 (2)
      • 논문리뷰 (2)
        • Computer Vision (2)
      • Python 활용하기 (12)
      • 코딩테스트 (127)
        • Python (109)
        • MySQL (14)
      • Git (3)
      • MySQL 활용하기 (0)
      • 일상 이야기 (1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태그
  • 최근 글

  • 250x250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3
swwho
무작정 시리즈의 시작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